본문 바로가기

정보

헌혈 종류 간단 정리

 

훈련소에서 강제로 헌혈을 처음 경험했었는데요. 그때는 피곤한 몸이라 원치 않은 헌혈이었는데 어디다가 항의도 못하고.. 그래도 우리 사회를 위해선 헌혈이 필요로 하니 헌혈 종류에 대해서 조사해 봤어요. 헌혈 종류와 함께 헌혈에 관련된 상식 Q&A도 준비해 봤습니다.

 

 

 

헌혈 종류는 전혈헌혈과 성분헌혈이 있습니다. 전혈헌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장, 혈소판)을 채혈하는 것으로 320ml, 400ml 두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전혈 헌혈은 혈액 그 자체를 뽑기 때문에 15분 내외로 가능하고 성인들은 400ml를 뽑습니다. 전혈 헌혈은 2개월의 헌혈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 5회까지로 제한하구요.

 

 

 

성분헌혈은 전혈헌혈에 비해 몸에 덜 무리가 가는 헌혈인데요. 따라서 헌혈 주기도 2주로 짧습니다. 혈소판 성분 헌혈, 혈장성분헌혈, 혈소판혈장성분헌혈로 나눠 집니다. 각 헌혈에 따라 250ml~500ml 까지 채혈합니다.

 

 

헌혈은 다 아는 것처럼 혈액의 성분 중 한가지 이상이 부족하여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는 다른 사람을 위해, 건강한 사람이 자유의사에 따라 아무 대가 없이 자신의 혈액을 기증하는 사랑의 실천이자 생명을 나누는 고귀한 행동이라고 하는데요. 저의 첫 헌혈의 자유의사가 아니어서 그런지 아직 헌혈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고 있지 못합니다.ㅜㅜ

 

 

 

헌혈에 대해서는 많은 오해와 잘못된 상식들이 퍼져있는데요. 그 중에 몇가지를 다뤄 보겠습니다. 헌혈 증서는 사고 팔 수 없고 대가적 급부를 주거나 타인의 혈액을 매매할 수 없습니다.

 

 

 아마 이부분에 대해서 가장 많이 걱정을 하실거 같은데 헌혈을 하고 나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건강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헌혈을 통해 에이즈 감염을 걱정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헌혈 과정은 매우 안전하게 진행되고 한번 사용 후에는 모두 폐기 처분하기 때문에 다른 질병에 감염될 걱정은 안해도 된다고 하네요.

 

 

헌혈과 다이어트는 무관합니다. --; 이 질문은 좀.... ㅎ

 

 

헌혈을 하면 그 순간 혈관이 수축 된다고 하는데요. 곧 본래의 상태로 회복한다고 합니다. 즉 헌혈의 횟수와 혈관 수축은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헌혈을 하기전에 혈색소(헤모글로빈)을 측정하고 진행하기 때문에 빈혈가능성이 있으면 헌혈을 할 수 없겠죠.

 

 

헌혈 부적격 사유는 다양한데요. 일시적으로 부적격 사유에 해당했다고 하더라도 추후에 그 사유가 해소되면 헌혈을 하실 수 있습니다.

 

 

헌혈은 본인이 아닌 다른 분들에게는 검사결과 및 헌혈기록의 비밀을 보장하고 법적으로 보호 된다고 합니다.

 

 

 

 

오늘은 헌혈 종류와 그 외에도 헌혈에 관련한 잘못된 상식이나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이렇게 자료를 보면서 헌혈에 대해서 안심하게 되었는데요. 헌혈은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한 봉사 중에서도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봉사니깐 많이 참여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