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가구 버리는 법 확인하세요

 

가구 버리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준비를 하면서 느끼는 점은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보다 주민센터 가서 하는게 훨씬 편하다는 점이었습니다. 다만 주민센터에서 모르고 유료로 폐기물 신청했던 가구를 무료로 버리는 방법이 있다는 것이었죠. 헌 가구들을 버릴때 무작정 주민센터 가서 스티커를 발급 받는것보다 각 지자체 별로 내용이 좀 다를 수 있으니 관련 내용을 한번 확인해 보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 보입니다.

 

 

 

조사하다 보니 폐가구 버리는 것은 지자체 업무 같습니다. 각 지자체 홈페이지로 들어가주세요. 저는 노원구청을 예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니깐, 어느 지역에 살든지 비슷할거에요. 우측 상단에 폐기물을 입력해주세요. 생각 안나는 단어 때문에 고민하지 마시고 폐기물을 기억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바로가기로 되어 있는 곳이 보일텐데요. 이곳을 통해 가구 버리는 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 부터는 잘 읽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주의점들을 잘 확인 하셔서 버린다면 조금이라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겠죠.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컴퓨터, 휴대폰, 오디오,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은 신제품구입시 판매자를 통해 배출이 가능합니다.

 

 

폐가전 제품은 무료 배출 할 수 있는데요. 아파트는 단지내 수집장소에 버리는 것이고, 일반 주택들은 불편하더라도 동주민센터로 가져가면 되니다. 품목을 확인해 주세요. 특히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등 대형가전은 무료 방문 수거 합니다. 무료로 배출 가능하다는거 기억해 주시고 무거운 제품은 집까지 친절하게 방문해 준다는점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사용 가능한 5년 미만의 가전 제품이나 판매가 가능한 가구 등은 재활용 센터에 먼저 문의 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약간이라도 돈을 받고 배출가능해지구요. 이런 과정을 다 거쳤지만 스티커를 부착해야 하는 상품들은 대형 폐기물 수집/운반/처리수수료 품목별부과기준 보기를 눌러서 금액을 확인해 주세요.

 

 

 

이렇게 들어가셔서 해당하는 제품을 고르고 가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출력하여 가구에 부착후 버리면 되는거에요. 동사무소에 굳이 가지 않으셔도 해결 가능한 방법을 알려 드렸는데요. 아마 저라도 출력하고 이런 부분들이 귀찮아서 주민센터 갈거 같네요. 다만 앞에 있던 정보들을 잘 기억하시면 돈 들어 갈 부분이 확 줄거라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