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모바일 핫스팟 연결 및 설정 방법

 

커피숍이나 기차 같은 공공장소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데이터 많은 요금제나 특히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중이라면 모바일 핫스팟을 이용해서 노트북이나, 모바일 이용하는게 속도도 빠르고 보안도 상대적으로 좋더라구요. 노트북 뿐만 아니라 옆사람 핸드폰도 모바일 핫스팟을 켜서 같이 이용하면 좋습니다. 모바일 핫스팟을 이용하는 방법과 다른 사람들이 함부로 쓰지 못하도록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모바일 핫스팟을 제공할 핸드폰에서 빠른 설정창을 활성화 해주세요. 방법은 아시겠지만 핸드폰 화면에 손을 대고 위에서 아래로 내리면 나오죠. 여기에서 모바일 핫스팟을 선택해주면 파란 불이 들어오면서 모바일 핫스팟이 실행이 됩니다. 그리고 아래에 테더링 또는 핫스팟 실행 중 을 선택해서 설정화면으로 이동해 줍니다. (참고로 설정 메뉴에서 기본 변경이 가능한데, 이렇게 찾아 들어가는게 쉽고 간편합니다.)

 

 

모바일 핫스팟만 실행해도 노트북이나 다른 핸드폰에서 와이파이가 사용가능해집니다. 단 주변에 누구나 그 핫스팟을 이용하게 되어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모바일 핫스팟 이름은 본인 번호 끝자리가 붙는데 이부분도 변경이 가능합니다. 그냥 사용하셔도 괜찮구요. 오른쪽 세로로 된 점 세 개를 눌러 주세요.

 

 

 

허용된 디바이스, 모바일 핫스팟 설정, 자동 해제 설정이 뜨는데 허용된 디바이스는 특정 노트북이나 모바일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데, 비밀번호 설정만 하는게 전 편리하더라구요. 두번째에 있는 모바일 핫스팟 설정으로 들어가볼께요.

 

 

그럼 이곳에서 네트워크 이름과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이름은 본인이 맘에 드는거 적어주면 되구요. 비밀번호는 8자 이상을 사용해야 하는데, 보안을 위해서는 숫자와 문자 결합이 좋겠죠. 다른 사람들이 쉽게 접근 못하도록 비밀번호까지 설정하면 저장을 눌러주세요. 이렇게 하면 모바일 핫스팟 설정이 끝났는데요. 아래는 노트북에서 무선인터넷 잡는 방법인데 대부분 아실꺼에요.

 

 

 

노트북 우측에 인터넷 설정하는 곳을 클릭하면 주변에 무선 인터넷 사용가능한 이름들이 쭉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본인의 휴대폰의 모바일 핫스팟 이름을 선택하고 아까 입력한 비밀번호를 누르면 연결이 됩니다. 노트북이나 핸드폰에서는 모바일 핫스팟도 그냥 하나의 무선인터넷으로 보여요. 제 생각에 본인이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중이라면 공공장소에서는 이렇게 연결하는게 훨씬 좋은것 같습니다. 물론 핸드폰 배터리를 조금 잡아 먹긴합니다.